[에이블뉴스]장애인들 보장구 급속충전기 찾아 삼만리 | 10,725 | ||
관리자 | 2017.01.23 | ||
설치 개수·정보 부족…구석, 화장실 앞 설치 불쾌감“거리서 신파극” 설치 의무화, 편의시설 확보 등 필요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7-01-20 16:03:13
“급속충전이 꼭 필요한 경우는 다른 지역에 갔을 때에요, 장거리로. 그런데 남의 동네에서는 더 찾기가 어려워요. 정말 필요한데. 어느 지역이든 주민센터나 지하철역에 가면 반드시 있다고 하는 게 아니니까.” “복지관 같은데 가면 식당 한 구석에다 설치해뒀어요. 쓰는 사람은 생각 안한 거지. 컴컴한데 아무도 안보는 데서 벽보고 한 30분 충전하느라 기다리고. 어이가 없어요. 그 시간이 너무 아까워요.” 장애인의 일상생활의 큰 변화를 일으킨 전동휠체어, 전동스쿠터 등 전동보장구는 2005년 건강보험 급여 품목으로 지정이후 이용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전동보장구 급속충전기 이용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있다. 설치 개수가 부족해 길가에서 활동보조인이 전동휠체어를 뒤에서 밀어야 하는 경우도, 화장실 앞에 설치돼 1시간이 넘는 시간 동안 냄새나는 곳에서 무료히 기다려야 하는 불쾌감도 존재했다. 한국장애인개발원이 최근 발간한 ‘전동보장구 충전소 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 속 실태조사에 따르면, 이용 불편 부분으로 급속충전기 이용 시 설치 개수가 부족하다는 응답이 30.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알기 어렵다는 의견이 28.6%로 나타났다. 이용경험은 총 150명 중 57명인 38%로 나타났는데, 이용 위치는 ‘복지관 등 장애인 이용시설'이 49.2%로 가장 많았고, ’지하철역, 버스정류장 등 대중교통 시설‘이 26.3%, ’주민센터 등 공공기관 건물‘이 7% 등이었다. 이용 빈도는 주1회 이하가 가장 많았으며, 이용 시 소요시간은 1시간~1시간 30분이 38.7%로 가장 많았다. 이용불편 부분을 순위별로 보면, ‘설치 개수가 부족하다’가 45.7%로 가장 많았고, 2순위는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알기 어렵다’가 34%로 이었다. 그 외에도 ‘충전을 기다리면서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이 없다’,‘설치 위치가 열악하다’, ‘충전기가 고장 나 있거나 관리되지 않아 이용할 수 없다’ 등이었다.
급속충전기를 추가 설치할 경우 이용자 입장에서 가장 이용하기 편리하다고 생각되는 적합한 위치는 ‘지하철역 및 버스정류장 등 대중교통 시설’이라는 응답이 50.7%로 가장 많았다.
이어 ‘복지관 등 장애인 이용시설’ 23명(15.3%), ‘대형쇼핑몰 등 다중이용시설’ 19명(12.7%), ‘주민센터 등 공공기관 건물’ 14명(9.3%), ‘대형병원 등 의료시설’ 6명(4%), ‘노인복지시설, 경로당 등 노유자시 설’ 4명(2.7%), ‘관광휴게시설’ 3명(2%)으로 조사됐다. 평소 업무 차 전동휠체어를 탄 채 전국 방방곡곡을 누비는 한국접근가능한관광네트워크 전윤선 대표도 급속 충전할 곳이 없어 난감할 때가 많았다. 한 번은 제주도에서 배터리가 떨어졌지만 충전할 곳이 없어 활동보조인이 숙소까지 10km를 밀고 가는 경험도 했다. 전 대표는 “서울 같은 경우는 지하철역, 공공기관에 대부분 설치돼있지만 관광지 같은 경우는 거의 없다. 지방일 경우 더욱 심긱하다”며 “유명관광지의 경우도 수동휠체어, 유모차는 비치돼있지만 충전할 곳이 없어서 힘들다. 일단 기본적으로 충전소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어렵게 급속충전기를 찾아도 관리가 되지 않아 고장 나 있거나, 이미 누군가 충전 중이어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또한 유동인구가 너무 많은 곳에 설치돼 충전하는 동안 구경거리가 된 것 같은 불쾌감을 느끼기도 한다. 전동스쿠터를 이용하는 굿잡자립생활센터 강현욱 부소장은 “급속충전기가 어디에 있는지 알기 어렵고, 평소 홍보를 한다지만 막상 시급히 충전할 상황이 발생할 때 정보접근성이 문제가 된다”며 “찾아간다고 해도 고장중이고, 한 대밖에 없어서 다른 사람이 사용 중이다. 그분 배터리나 충전상태에 따라 장시간 대기하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강 부소장은 “충전기가 있는 곳이 비좁고 다른 비장애인들이 왕래가 잦고 장애인이 그다지 편안한 상태에서 남 눈치 안보고 충전할 수 있는 장소가 아니다”라며 “제대로 충전이 안돼서 다시 충전기를 찾아야하기도 하고, 갑자기 배터리가 떨어져서 거리에서 신파극을 찍는 경우도 발생한다. 편한 곳에서 충전을 할 수 있는 충전소가 많이 늘어났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장애인개발원 정책연구실 강정배 연구기획팀장은 “정부건물, 시청, 주민센터 등 국가 또는 지자체 건물 또는 공식 공용시설에 설치를 의무화할 필요성이 있다. 이는 지난 19대 국회에서 발의된 장애인 등 편의증진법 개정안이기도 하지만 별다른 논의 없이 폐기된 부분”이라며 “20대 국회에 재발의되서 논의 필요성이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 강 팀장은 “설치는 반드시 독립된 공간, 그리고 면적 및 크기는 장애인 등 편의보장법에 규정된 장애인 화장실 설치기준에 맞는 크기를 준용해야 한다. 편의시설과 함께 사용자 편리를 위해 탁자, 간이 도서관, 충전기 등 주변 편의시설도 함께 설치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강 팀장은 “설치 이전에 가장 유의해야할 부분은 현재 설치되고 있는 충전기는 납축전지의 특성으로 인해 아주 제한적으로만 이용해야 한다. 배터리 용량이 35Ah 이하일 경우 이용하면 안 된다”며 “충전소 확대 이전에 충전기기 기준마련, 사용법 안내, 유의사항의 안내가 우선시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
[에이블뉴스]서울시, 저소득 중증장애인 100가구 무료 집수리 | |||
[에이블뉴스]등급제 개편 ‘윤곽’, 장애계 반응 '제각각' |
|